'밥 짓는 대신 급하면 햇반 돌립니다'…결국은
입력2025.02.03.
작년 밥쌀 소비 역대 최소…2035년까지 15% 더 줄어들듯
![](https://blog.kakaocdn.net/dn/lhBfg/btsL4QRWxau/MUZII3wnoe0Ktkn9gf5bp1/img.jpg)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면서 쌀 소비가 계속 줄어, 앞으로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약 15%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오늘(3일) '농업전망 2025' 보고서를 통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톤, 내년 269만톤, 오는 2030년 253만톤, 2035년 233만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습니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겁니다.
지난 2014∼2023년 소비량은 서구화한 식문화와 대체 식품 소비 증가 등에 따라 연평균 1.6% 감소했습니다.
쌀 소비 감소세는 지난해에도 계속됐습니다.
통계청 조사에서 작년 국민 1인당 평균 식량용 쌀 소비량은 55.8㎏으로, 관련 조사가 시작된 1962년 이래 가장 적었습니다.
이는 30년 전인 1994년 소비량(120.5㎏)의 절반 수준입니다.
농경연은 아침 식사를 거르는 식습관도 쌀 소비 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다만 농경연은 즉석밥과 도시락, 떡 등에 들어가는 가공용 쌀 소비는 점차 늘어 올해 77만톤에서 2035년 94만톤으로 22.1%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그러나 가공용 쌀 소비량은 식량용 쌀 소비량의 3분의 1 수준인 만큼, 전체 쌀 소비 감소세를 방어하기는 역부족입니다.
농경연은 식량용과 가공용 쌀 소비량을 합친 전체 쌀 소비량은 올해 350만톤에서 2035년 327만톤으로 6.6% 줄어든다고 내다봤습니다.
쌀 소비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쌀 생산이 줄지 않으면 쌀값 하락도 불가피합니다.
지난해 정부는 산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햅쌀 20만톤을 사들여 시장에서 격리하고 벼 매입자금 지원을 늘리는 대책을 발표했지만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을 목표치인 '80㎏에 20만원'으로 끌어올리지는 못했습니다.
산지에서 재고 처리를 위해 저가 판매에 나서면서 수확기 산지 쌀값은 80㎏에 18만4천700원으로, 18만원대에 머물렀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지 쌀값 하락이 쌀 과잉 생산으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라고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벼 재배면적을 8만㏊(헥타르·1㏊는 1만㎡)를 줄이겠다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감축 목표 면적은 지난해 벼 재배면적(69만8천㏊)의 11%에 해당하고, 여의도(290㏊)의 276배와 맞먹습니다.
농식품부는 또 양곡관리법 개정안의 대안을 마련해 국회와 논의할 방침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hBfg/btsL4QRWxau/MUZII3wnoe0Ktkn9gf5bp1/img.jpg)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오늘(3일) '농업전망 2025' 보고서를 통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톤, 내년 269만톤, 오는 2030년 253만톤, 2035년 233만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습니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겁니다.
지난 2014∼2023년 소비량은 서구화한 식문화와 대체 식품 소비 증가 등에 따라 연평균 1.6% 감소했습니다.
쌀 소비 감소세는 지난해에도 계속됐습니다.
통계청 조사에서 작년 국민 1인당 평균 식량용 쌀 소비량은 55.8㎏으로, 관련 조사가 시작된 1962년 이래 가장 적었습니다.
이는 30년 전인 1994년 소비량(120.5㎏)의 절반 수준입니다.
농경연은 아침 식사를 거르는 식습관도 쌀 소비 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다만 농경연은 즉석밥과 도시락, 떡 등에 들어가는 가공용 쌀 소비는 점차 늘어 올해 77만톤에서 2035년 94만톤으로 22.1%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그러나 가공용 쌀 소비량은 식량용 쌀 소비량의 3분의 1 수준인 만큼, 전체 쌀 소비 감소세를 방어하기는 역부족입니다.
농경연은 식량용과 가공용 쌀 소비량을 합친 전체 쌀 소비량은 올해 350만톤에서 2035년 327만톤으로 6.6% 줄어든다고 내다봤습니다.
쌀 소비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쌀 생산이 줄지 않으면 쌀값 하락도 불가피합니다.
지난해 정부는 산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햅쌀 20만톤을 사들여 시장에서 격리하고 벼 매입자금 지원을 늘리는 대책을 발표했지만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을 목표치인 '80㎏에 20만원'으로 끌어올리지는 못했습니다.
산지에서 재고 처리를 위해 저가 판매에 나서면서 수확기 산지 쌀값은 80㎏에 18만4천700원으로, 18만원대에 머물렀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지 쌀값 하락이 쌀 과잉 생산으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라고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벼 재배면적을 8만㏊(헥타르·1㏊는 1만㎡)를 줄이겠다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감축 목표 면적은 지난해 벼 재배면적(69만8천㏊)의 11%에 해당하고, 여의도(290㏊)의 276배와 맞먹습니다.
농식품부는 또 양곡관리법 개정안의 대안을 마련해 국회와 논의할 방침입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김성훈 기자(here@sbs.co.kr)
'시사 이슈 국내 국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 1명당 1억씩 줬더니…"반전 결과에 모두가 놀랬다" (0) | 2025.02.05 |
---|---|
"암호화폐 쓸모없다, IQ 높은 사람도 속고 있다" 빌 게이츠의 경고 (0) | 2025.02.02 |
돈 많은 사람이 더 오래 걷는다...최악의 생활 습관 가진 사람은? (0) | 2025.01.31 |
“이재명 재판 법에 따라야 62%”…“핵 능력 키워야 74%” (0) | 2025.01.28 |
與 “野 지자체장이 명절에 나눠준 공짜 돈, 미래세대가 갚아야”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