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상식 이야기!!
싱겁게 먹어도 꿈쩍 않는 혈압… ‘이것’ 챙기는 게 더 효과적이다
하나님아들
2025. 4. 22. 21:02
싱겁게 먹어도 꿈쩍 않는 혈압… ‘이것’ 챙기는 게 더 효과적이다
입력2025.04.21.

혈압 조절을 위해 단순히 소금 섭취를 줄이는 것보다, 바나나 등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먹는 게 더욱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연구팀은 20일 ‘미국 생리학회지-신장생리학’에 나트륨과 칼륨 비율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나트륨을 제한하는 것과 더불어 칼륨 섭취를 늘리는 것이 혈압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연구팀은 칼륨 섭취와 혈압 조절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학 모델을 개발했고 이를 바탕으로 모의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칼륨 섭취를 2배 늘렸을 때 혈압은 남성이 최대 14㎜Hg, 여성이 최대 10㎜Hg까지 감소했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Hg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현재 전 세계 성인 30%가 고혈압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고혈압을 관상 동맥 질환이나 허혈성·출혈성 뇌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아니타 레이튼 박사는 “고혈압 환자에게 ‘소금을 줄이라’는 조언은 흔히 하지만 이번 연구는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것이 단순한 나트륨 제한보다 혈압을 더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고 했다.
공동 연구자 멜리사 스타트도 “인류 초기엔 과일과 채소를 풍부하게 먹었고 인체 역시 고칼륨·저나트륨 식단에 적응해 진화했을 것”이라며 “반면 현대 서구식 식단은 나트륨이 지나치게 많고 칼륨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는 고혈압이 산업화한 사회에서 주로 발견되는 이유일 것”이라고 말했다.
고혈압 환자에게 칼륨의 중요성은 작년 4월 공개된 또 다른 연구에서도 강조된 바 있다. 하루에 칼륨을 1g만 추가 섭취해도 고혈압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중간 크기 바나나 두 개에 해당하는 양이다.
칼륨이 풍부한 대표적 먹거리로는 바나나, 토마토, 브로콜리, 시금치, 고구마, 감자, 아보카도, 콩류, 견과류 등이 있다. 혈압 관리를 위해선 이런 식습관과 더불어 술, 담배,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게 중요하다.
문지연 기자 jymoo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