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일반 상식 이야기
따뜻한 티백차 즐겼는데…"미세 플라스틱 수백만 개"
하나님아들
2025. 1. 18. 22:50
따뜻한 티백차 즐겼는데…"미세 플라스틱 수백만 개"
입력2025.01.18.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티백에서
방대한 양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돼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14일(현지시각)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와 이집트 소하그대학교, 독일의 라이프치히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 연구를 인용해 “차를 마시기 위해 티백을 우려낼 때 수백만 개의 나노플라스틱과 미세플라스틱이 나올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매체가 인용한 연구에 따르면, 연구팀은 각각 폴리아마이드(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스 고분자로 만들어진 티백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폴리프로필렌 소재 티백에서 평균 136.7nm 입자가 mL 당 약 12억 개, 셀룰로스 티백에서는 평균 244nm 입자가 약 1억 3500만 개, 나일론 티백에서는 평균 138.4nm의 입자가 약 818만 개 방출됐습니다.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티백에서 가장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인데, 차 한 잔을 100mL로 가정했을 때 한 잔에서만 약 1200억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셀룰로스 티백에서는 평균 244㎚ 입자가 약 1억3500만개, 나일론 티백에서는 평균 138.4㎚의 입자가 약 818만개가 나왔습니다.
연구팀은 티백에서 나온 엄청난 수의 플라스틱의 입자가 장 세포에 흡수돼 혈류를 타고 인체에 돌아다닌다고 했습니다. 연구팀은 “생물학적 상호작용 실험 결과, 점액을 생성하는 장 세포가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흡수했으며, 입자가 유전 물질을 보관하는 세포핵까지 들어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 체내 흡수에 장내 점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봤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케모스피어(Chemosphere) 저널에 발표됐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윤진섭 기자(yjs@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