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375

기독교(基督敎) 사상

기독교(基督敎) 사상 기독교란? 고대 기독교 사상 속사도 교부 변증가들(12) 알렉산드리아 신학 라틴 신학 기독교강요 기독교란? 우리가 기독교 사상을 공부하기 전에 기독교에 대해서 먼저 공부하겠습니다. 표준국어사전과 기독교사전에서 기독교에 대해서 찿아보았습니다. 표준국어사전 -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교훈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 천지 만물을 창조한 유일신을 섬기고, 그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다.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나 로마제국의 국교가 되었고, 다시 페르시아, 인도, 중국 등지에 전해졌는데, 11세기 그리스 정교회가 갈려 나간 후, 로마가톨릭 교회는 다시 16세기 종교개혁에 의하여 구교 곧 가톨릭교회와 신교로 분리되어 현재 세교회로 나뉘어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신교를 기독교라고도 한..

각 교단별 교리 및 신앙관행의 차이

각 교단별 교리 및 신앙관행의 차이 각 교단의 교리와 신앙관행은 '비본질적인 것'이기 때문에 이단으로 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교리나 신앙관행의 차이로 인해 서로 이단규정을 한다면 이단이 아닌 교단은 아마 하나도 없을 것이다. 각 교단간 교리적 차이는 무엇인지, 신앙 관행상으로는 어떤 차이를 갖는지 주요 부분에 대해서만 비교해 보자. 1. 교단별 교리 특징 교단 특징 기원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성령 구원 교단 특징 1 장로교 . 16세기 종교개혁에서 기원, 스위스 중심 . 칼빈과 츠빙글리 . 독일,프랑스,영국 등으로 확산 . 영국의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건너가 장로교의 뿌리가 됨 . 1885년 언더우드 선교사에 의해 국내에 소개 . 사도신경과 니케아신조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 믿음 . 고대 에큐메니..

근본주의가 무엇인가?

근본주의가 무엇인가? 오늘날 근본주의(Fundamentalism)라는 말은 말하는 이의 지식과 분별력과 입장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의 자유주의자들은 일찍부터 보수주의를 근본주의라고 비난해 왔다. 그러나 보수주의 진영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근본주의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다. 보수장로교친교회는 신복음주의나 복음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반대했기 때문에 제안되었었다. 그러나 때때로 우리들 가운데서도 ‘근본주의’에 대한 잘못된 개념이나 비평을 들을 수 있다. 그럴 때에는 혹시 복음주의의 오류에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기도 한다. 근본주의는 무엇이며, 근본주의와 복음주의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또 근본주의의 정당성은 무엇인가? 다시 한번 분명하게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자유주의와의 싸움..

교의학 및 기타 교의학들 총 요약

교의학 교의학 및 기타 교의학들 총 요약 (HORST G.PÖHLMANN과 칼 바르트, 황승룡의 조직 신학을 중심으로) 교의신학은 주석적,역사적 신학과 실천적 신학 사이를 잇는 연동 벨트로서, 그 규범인 성서에 매여서, 1. 실존적 기능, 2.재생적 기능, 3.생산적 기능 그 리고 4. 합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그래서 그것은 성서의 사신을 요약하고 우 리 시대를 위해서 새롭게 표현하려는, 하느님에 관한 비판적 학문이라고 정의 될수 있겠다. 1. 종교 1. 종교의 본질 성경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고 가르쳐 준다. 이 인간이 범죄하여 타락했다고 해서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자로서의 위치를 완전히 잃어버린 것은 아니다. 비록 인간의 죄된 성품은 종교를 끊임없이 반대하지 만, 종교의 씨앗만은 아직도..

신학은 무엇이며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

신학은 무엇이며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 ※밀라드 에릭슨(노스웨스턴대 박사, 조직신학, 뮌헨대 연구, 베델신학대학원 학장 역임)의 신학 1. 시대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학(찰스 핫지, 스트롱, 루이스 벌콥을 넘어) 2. 복음주의 학자들이 헤석학 분야에서 이루어놓은 작업과 결과들을 활용, 현대 문화 속 인식, 재진술 3. 고전적인 정통주의 4. 성서 권위와 현대 사이의 미묘한 균형(전자를 선택) 5. 초창기 버나드 램(캘리포니아 버클리 서부 침례신학교 교수, 조직신학) 영향 6. 박사과정 중 윌리엄 호던(루터신학교 학장, 노스웨스턴 대와 개릿신학교) 영향 7. 판넨 베르크 영향(독일 뮌헨대 학사 후 과정) 8. 온타리오 헤밀턴 맥마스터 신학교 클락 피녹("철저해야 한다는 관념에 노예가 되지 말라", "책..

장로교 조직신학

장로교 조직신학 서론 제1부: 신학의 개념, 역사, 방법 1. 신학의 개념과 분야들 1-1. 신학의 개념 신학(神學, theology)은 말 그대로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학(學) 혹은 학문(science, 과학)이란 "체계적 연구에 의해 얻어진 사실들이나 원리들에 대한 지식" 즉 어떤 주제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학이란 하나님과 그의 진리들에 관한 체계적 지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을 다른 말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엄격한 의미에서 신학은 조직신학을 가리킨다. 기독교 정통 신앙의 입장에서 볼 때, 하나님의 진리들은 하나님의 특별계시들의 기록인 성경에만 명확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신학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진리들..

기독교(基督敎) 사상

기독교(基督敎) 사상 기독교란? 고대 기독교 사상 속사도 교부 변증가들(12) 알렉산드리아 신학 라틴 신학 기독교강요 기독교란? 우리가 기독교 사상을 공부하기 전에 기독교에 대해서 먼저 공부하겠습니다. 표준국어사전과 기독교사전에서 기독교에 대해서 찿아보았습니다. 표준국어사전 -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교훈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 천지 만물을 창조한 유일신을 섬기고, 그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다.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나 로마제국의 국교가 되었고, 다시 페르시아, 인도, 중국 등지에 전해졌는데, 11세기 그리스 정교회가 갈려 나간 후, 로마가톨릭 교회는 다시 16세기 종교개혁에 의하여 구교 곧 가톨릭교회와 신교로 분리되어 현재 세교회로 나뉘어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신교를 기독교라고도 한..

근본주의가 무엇인가?

근본주의가 무엇인가? 오늘날 근본주의(Fundamentalism)라는 말은 말하는 이의 지식과 분별력과 입장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의 자유주의자들은 일찍부터 보수주의를 근본주의라고 비난해 왔다. 그러나 보수주의 진영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근본주의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다. 보수장로교친교회는 신복음주의나 복음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반대했기 때문에 제안되었었다. 그러나 때때로 우리들 가운데서도 ‘근본주의’에 대한 잘못된 개념이나 비평을 들을 수 있다. 그럴 때에는 혹시 복음주의의 오류에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기도 한다. 근본주의는 무엇이며, 근본주의와 복음주의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또 근본주의의 정당성은 무엇인가? 다시 한번 분명하게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자유주의와의 싸움..

칼빈의 제네바 교리문답 작성 배경

칼빈의 제네바 교리문답 작성 배경 1. 서 론 ​ 칼빈은 루터가 일으킨 종교개혁의 불씨를 전 유럽과 전 세계로 퍼뜨린 개혁의 시조(始祖)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칼빈의 개혁운동과 사상의 중심에는 제네바시가 있었고, 그곳에서 그의 개혁적인 교리와 교회정치가 완성되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제네바 사역 초기에 칼빈은 단순히 성경을 가르치는 교사 신분에 불과했다. 그러나 그의 신앙 개혁에 대한 불타오르는 의지는 제네바 시(市) 전체를 말씀을 통한 철저한 개혁의 토대위에 세워놓았다. ​ 그러면 칼빈이 제네바 시(市)에서 개혁에 성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필자는 이 글에서 그 이유가 시민들의 개혁신앙을 굳게 세워주는 신앙고백과 교리문답 그리고 이를 철저히 실천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

기독론

기독론 제1장 : 서론 Ⅰ. 기독론의 정의, 신학적 위치, 그리고 주제의 차원들 1. 기독론의 정의 기독론은 "예수는 그리스도이시다.", 또는 "예수 그리스도는 주이시다." 라는 기독교 신앙의 기본적인 고백의 의미를 신학적으로 해명하여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가장 원초적인 기독론적 도식은 가이사랴 빌립보에서의 베드로의 고백이라고 일컬어지는 주는 그리스도시니이다(막8:29)로 단지 자연인으로서의 역사적 인물 예수에 대한 제 삼자적인 탐구의 산물이 아니라 예수라는 실재와의 인격적 만남에 의해 생성된 고백이다. 기독론의 사고의 범주는 신학적이며, 역사적이며, 실존적이며 또한 객관적이며, 신앙적이며, 학문적이다. 2. 기독론의 신학적 위치 기독론은 기독교 신학의 중심이다. 기독교 신학에 있어서 신론, 성령론, ..